이 문서는 2판 번역본입니다.

최신 2021 에디션 문서는 https://doc.rust-kr.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네릭 데이터 타입

함수 시그니처나 구조체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타입을 쓰는 곳에다 제네릭을 이용하는 것은 여러 다른 종류의 구체적인 데이터 타입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정의를 생성하도록 해줍니다. 제네릭을 이용하여 함수, 구조체, 열거형, 그리고 메소드를 정의하는 방법을 살펴본 뒤, 이 절의 끝에서 제네릭을 이용한 코드의 성능에 대해 논의하겠습니다.

함수 정의 내에서 제네릭 데이터 타입을 이용하기

우리는 함수의 시그니처 내에서 파라미터의 데이터 타입과 반환 값이 올 자리에 제네릭을 사용하는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성된 코드는 더 유연해지고 우리 함수를 호출하는 쪽에서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코드 중복을 야기하지도 않습니다.

우리의 largest 함수로 계속 진행하면, Listing 10-4는 슬라이스 내에서 가장 큰 값을 찾는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두 함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첫 번째 함수는 Listing 10-3에서 추출한 슬라이스에서 가장 큰 i32를 찾는 함수입니다. 두 번째 함수는 슬라이스에서 가장 큰 char를 찾습니다:

Filename: src/main.rs

fn largest_i32(list: &[i32]) -> i32 {
    let mut largest = list[0];

    for &item in list.iter() {
        if item > largest {
            largest = item;
        }
    }

    largest
}

fn largest_char(list: &[char]) -> char {
    let mut largest = list[0];

    for &item in list.iter() {
        if item > largest {
            largest = item;
        }
    }

    largest
}

fn main() {
    let numbers = vec![34, 50, 25, 100, 65];

    let result = largest_i32(&numbers);
    println!("The largest number is {}", result);
   assert_eq!(result, 100);

    let chars = vec!['y', 'm', 'a', 'q'];

    let result = largest_char(&chars);
    println!("The largest char is {}", result);
   assert_eq!(result, 'y');
}

Listing 10-4: 이름과 시그니처만 다른 두 함수들

여기서 함수 largest_i32largest_char는 정확히 똑같은 본체를 가지고 있으므로, 만일 우리가 이 두 함수를 하나로 바꿔서 중복을 제거할 수 있다면 좋을 것입니다. 운 좋게도,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도입해서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정의하고자 하는 함수의 시그니처 내에 있는 타입들을 파라미터화 하기 위해서, 타입 파라미터를 위한 이름을 만들 필요가 있는데, 이는 값 파라미터들의 이름을 함수에 제공하는 방법과 유사합니다. 우리는 T라는 이름을 선택할 겁니다. 어떤 식별자(identifier)든지 타입 파라미터의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러스트의 타입 이름에 대한 관례가 낙타 표기법(CamelCase)이기 때문에 T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의 이름은 또한 관례상 짧은 경향이 있는데, 종종 그냥 한 글자로 되어 있습니다. "type"을 줄인 것으로서, T가 대부분의 러스트 프로그래머의 기본 선택입니다.

함수의 본체에 파라미터를 이용할 때는, 시그니처 내에 그 파라미터를 선언하여 해당 이름이 함수 본체 내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컴파일러가 할 수 있도록 합니다. 비슷하게, 함수 시그니처 내에서 타입 파라미터 이름을 사용할 때는, 사용 전에 그 타입 파라미터 이름을 선언해야 합니다. 타입 이름 선언은 함수의 이름과 파라미터 리스트 사이에 꺾쇠괄호를 쓰고 그 안에 넣습니다.

우리가 정의하고자 하는 제네릭 largest 함수의 함수 시그니처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fn largest<T>(list: &[T]) -> T {

이를 다음과 같이 읽습니다: 함수 largest는 어떤 타입 T을 이용한 제네릭입니다. 이것은 list라는 이름을 가진 하나의 파라미터를 가지고 있고, list의 타입은 T 타입 값들의 슬라이스입니다. largest 함수는 동일한 타입 T 값을 반환할 것입니다.

Listing 10-5는 함수 시그니처 내에 제네릭 데이터 타입을 이용한 통합된 형태의 largest 함수 정의를 보여주며, 또한 i32 값들의 슬라이스 혹은 char 값들의 슬라이스를 가지고 어떻게 largest를 호출할 수 있을지를 보여줍니다. 이 코드가 아직 컴파일되지 않는다는 점을 주의하세요!

Filename: src/main.rs

fn largest<T>(list: &[T]) -> T {
    let mut largest = list[0];

    for &item in list.iter() {
        if item > largest {
            largest = item;
        }
    }

    largest
}

fn main() {
    let numbers = vec![34, 50, 25, 100, 65];

    let result = largest(&numbers);
    println!("The largest number is {}", result);

    let chars = vec!['y', 'm', 'a', 'q'];

    let result = largest(&chars);
    println!("The largest char is {}", result);
}

Listing 10-5: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이용하지만 아직 컴파일되지 않는 largest 함수의 정의

이 코드를 지금 컴파일하고자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얻게 될 것입니다:

error[E0369]: binary operation `>` cannot be applied to type `T`
  |
5 |         if item > largest {
  |            ^^^^
  |
note: an implementation of `std::cmp::PartialOrd` might be missing for `T`

위 노트는 std::cmp::PartialOrd를 언급하는데, 이는 트레잇(trait) 입니다. 트레잇에 대해서는 다음 절에서 살펴볼 것이지만,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이 에러가 말하고 있는 것은 T가 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타입에 대해서 동작하지 않으리라는 것입니다: 함수 본체 내에서 T 타입의 값을 비교하고자 하기 때문에, 어떻게 순서대로 정렬하는지 알고 있는 타입만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표준 라이브러리는 어떤 타입에 대해 비교 연산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는 트레잇인 std::cmp::PartialOrd을 정의해뒀습니다. 다음 절에서 트레잇, 그리고 어떤 제네릭 타입이 특정 트레잇을 갖도록 명시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돌아올 것이지만, 이 예제는 잠시 옆으로 치워두고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는 다른 곳을 먼저 돌아봅시다.

구조체 정의 내에서 제네릭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우리는 또한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구조체 필드 내에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구조체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Listing 10-6은 임의의 타입으로 된 xy 좌표값을 가질 수 있는 Point 구조체의 정의 및 사용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Filename: src/main.rs

struct Point<T> {
    x: T,
    y: T,
}

fn main() {
    let integer = Point { x: 5, y: 10 };
    let float = Point { x: 1.0, y: 4.0 };
}

Listing 10-6: T 타입의 값 xy를 갖는 Point 구조체

문법은 함수 정의 내에서의 제네릭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먼저, 구조체 이름 바로 뒤에 꺾쇠괄호를 쓰고 그 안에 타입 파라미터의 이름을 선언해야 합니다. 그러면 구조체 정의부 내에서 구체적인 데이터 타입을 명시하는 곳에 제네릭 타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Point의 정의 내에서 단 하나의 제네릭 타입을 사용했기 때문에, Point 구조체는 어떤 타입 T를 이용한 제네릭이고 xy가 이게 결국 무엇이 되든 간에 둘 다 동일한 타입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음을 주목하세요. 만일 Listing 10-7에서와 같이 다른 타입의 값을 갖는 Point의 인스턴스를 만들고자 한다면, 컴파일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Filename: src/main.rs

struct Point<T> {
    x: T,
    y: T,
}

fn main() {
    let wont_work = Point { x: 5, y: 4.0 };
}

Listing 10-7: xy 필드는 둘 모두 동일한 제네릭 데이터 타입 T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타입이어야 합니다

이 코드를 컴파일하고자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얻게 될 것입니다:

error[E0308]: mismatched types
 -->
  |
7 |     let wont_work = Point { x: 5, y: 4.0 };
  |                                      ^^^ expected integral variable, found
  floating-point variable
  |
  = note: expected type `{integer}`
  = note:    found type `{float}`

x에 정수 5를 대입할 때, 컴파일러는 이 Point의 인스턴스에 대해 제네릭 타입 T가 정수일 것이고 알게 됩니다. 그다음 y에 대해 4.0을 지정했는데, 이 yx와 동일한 타입을 갖도록 정의되었으므로, 타입 불일치 에러를 얻게 됩니다.

만일 xy가 서로 다른 타입을 가지지만 해당 타입들이 여전히 제네릭인 Point 구조체를 정의하길 원한다면, 여러 개의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Listing 10-8에서는 Point의 정의를 TU를 이용한 제네릭이 되도록 변경했습니다. 필드 x의 타입은 T이고, 필드 y의 타입은 U입니다:

Filename: src/main.rs

struct Point<T, U> {
    x: T,
    y: U,
}

fn main() {
    let both_integer = Point { x: 5, y: 10 };
    let both_float = Point { x: 1.0, y: 4.0 };
    let integer_and_float = Point { x: 5, y: 4.0 };
}

Listing 10-8: 두 타입을 이용한 제네릭이어서 xy가 다른 타입의 값일 수도 있는 Point

이제 위와 같은 모든 Point 인스턴스가 허용됩니다! 정의 부분에 여러분이 원하는 만큼 많은 수의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이용할 수 있지만, 몇몇 개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은 읽고 이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여러분이 많은 수의 제네릭 타입을 필요로 하는 지점에 다다랐다면, 이는 아마도 여러분의 코드가 좀 더 작은 조각들로 나뉘는 재구조화가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징조입니다.

열거형 정의 내에서 제네릭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구조체와 유사하게, 열거형도 그 variant 내에서 제네릭 데이터 타입을 갖도록 정의될 수 있습니다. 6장에서 표준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Option<T> 열거형을 이용해봤는데, 이제는 그 정의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겠지요. 다시 한번 봅시다:

#![allow(unused)]
fn main() {
enum Option<T> {
    Some(T),
    None,
}
}

달리 말하면, Option<T>T 타입에 제네릭인 열거형입니다. 이것은 두 개의 variant를 가지고 있습니다: 타입 T 값 하나를 들고 있는 Some, 그리고 어떠한 값도 들고 있지 않는 None variant 입니다. 표준 라이브러리는 구체적인 타입을 가진 이 열거형에 대한 값의 생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딱 이 한 가지 정의만 가지고 있으면 됩니다. "옵션 값"의 아이디어는 하나의 명시적인 타입에 비해 더 추상화된 개념이고, 러스트는 이 추상화 개념을 수많은 중복 없이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열거형은 또한 여러 개의 제네릭 타입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9장에서 사용해본 Result 열거형의 정의가 한 가지 예입니다:

#![allow(unused)]
fn main() {
enum Result<T, E> {
    Ok(T),
    Err(E),
}
}

Result 열거형은 TE, 두 개의 타입을 이용한 제네릭입니다. Result는 두 개의 variant를 가지고 있습니다: 타입 T의 값을 들고 있는 Ok, 그리고 타입 E의 값을 들고 있는 Err입니다. 이 정의는 성공하거나 (그래서 어떤 T 값을 반환하거나) 혹은 실패하는 (그래서 E 타입으로 된 에러를 반환하는) 연산이 필요한 어디에서든 편리하게 Result 열거형을 이용하도록 해줍니다. Listing 9-2에 우리가 파일을 열 때를 상기해보세요: 이 경우, 파일이 성공적으로 열렸을 때는 Tstd::fs::File 타입의 값이 채워지고 파일을 여는데 문제가 생겼을 때는 Estd::io::Error 타입으로 된 값이 채워졌습니다.

여러분의 코드에서 단지 들고 있는 값의 타입만 다른 여러 개의 구조체나 열거형이 있는 상황을 인지했다면, 우리가 함수 정의에서 제네릭 타입을 대신 도입하여 사용했던 것과 똑같은 절차를 통해 그러한 중복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메소드 정의 내에서 제네릭 데이터 타입 사용하기

5장에서 했던 것과 유사하게, 정의부에 제네릭 타입을 갖는 구조체와 열거형 상의 메소드를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Listing 10-9는 우리가 Listing 10-6에서 정의했던 Point<T> 구조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고 나서 필드 x의 값에 대한 참조자를 반환하는 x라는 이름의 메소드를 Point<T> 상에 정의했습니다:

Filename: src/main.rs

struct Point<T> {
    x: T,
    y: T,
}

impl<T> Point<T> {
    fn x(&self) -> &T {
        &self.x
    }
}

fn main() {
    let p = Point { x: 5, y: 10 };

    println!("p.x = {}", p.x());
}

Listing 10-9: T 타입의 x 필드에 대한 참조자를 반환하는 Point<T> 구조체 상에 x라는 이름의 메소드 정의

impl 바로 뒤에 T를 정의해야만 타입 Point<T> 메소드를 구현하는 중에 이를 사용할 수 있음을 주목하세요.

구조체 정의 내에서의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는 여러분이 구조체의 메소드 시그니처 내에서 사용하고 싶어하는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와 항상 같지 않습니다. Listing 10-10에서는 Listing 10-8에서의 Point<T, U> 구조체 상에 mixup 이라는 메소드를 정의했습니다. 이 메소드는 또다른 Point를 파라미터로 갖는데, 이는 우리가 호출하는 mixup 상의 selfPoint와 다른 타입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메소드는 새로운 Point를 생성하는데 self Point로부터 (T 타입인) x 값을 가져오고, 파라미터로 넘겨받은 Point로부터 (W 타입인) y 값을 가져온 것입니다:

Filename: src/main.rs

struct Point<T, U> {
    x: T,
    y: U,
}

impl<T, U> Point<T, U> {
    fn mixup<V, W>(self, other: Point<V, W>) -> Point<T, W> {
        Point {
            x: self.x,
            y: other.y,
        }
    }
}

fn main() {
    let p1 = Point { x: 5, y: 10.4 };
    let p2 = Point { x: "Hello", y: 'c'};

    let p3 = p1.mixup(p2);

    println!("p3.x = {}, p3.y = {}", p3.x, p3.y);
}

Listing 10-10: 구조체 정의에서와는 다른 제네릭 타입을 사용하는 메소드

main에서, 우리는 (5 값을 갖는) x에 대해 i32를, (10.4 값을 갖는) y에 대해 f64를 사용하는 Point를 정의했습니다. p2는 ("Hello" 값을 갖는) x에 대해 스트링 슬라이스를, (c 값을 갖는) y에 대해 char를 사용하는 Point입니다. p1상에서 인자로 p2를 넘기는 mixup 호출은 p3을 반환하는데, 이는 xp1으로부터 오기 때문에 xi32 타입을 갖게 될 것입니다. 또한 yp2로부터 오기 때문에 p3y에 대해 char 타입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println!p3.x = 5, p3.y = c를 출력하겠지요.

제네릭 파라미터 TUimpl 뒤에 선언되었는데, 이는 구조체 정의와 함께 사용되기 때문임을 주목하세요. 제네릭 파라미터 VWfn mixup 뒤에 선언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오직 해당 메소드에 대해서만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제네릭을 이용한 코드의 성능

여러분이 이 절을 읽으면서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이용한 런타임 비용이 있는지 궁금해하고 있을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좋은 소식을 알려드리죠: 러스트가 제네릭을 구현한 방식이 의미하는 바는 여러분이 제네릭 파라미터 대신 구체적인 타입을 명시했을 때와 비교해 전혀 느려지지 않을 것이란 점입니다!

러스트는 컴파일 타임에 제네릭을 사용하는 코드에 대해 단형성화(monomorphization) 를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성능을 이루어 냈습니다. 단형성화란 제네릭 코드를 실제로 채워질 구체적인 타입으로 된 특정 코드로 바꾸는 과정을 말합니다.

컴파일러가 하는 일은 Listing 10-5에서 우리가 제네릭 함수를 만들 때 수행한 단계들을 반대로 한 것입니다. 컴파일러는 제네릭 코드가 호출되는 모든 곳을 살펴보고 제네릭 코드가 호출될 때 사용된 구체적인 타입에 대한 코드를 생성합니다.

표준 라이브러리의 Option 열거형을 사용하는 예제를 통해 알아봅시다:

#![allow(unused)]
fn main() {
let integer = Some(5);
let float = Some(5.0);
}

러스트가 이 코드를 컴파일할 때, 단형성화를 수행할 것입니다. 컴파일러는 Option에 넘겨진 값들을 읽고 두 종류의 Option<T>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됩니다: 하나는 i32이고 나머지 하나는 f64 이지요. 그리하여 컴파일러는 제네릭 정의를 명시적인 것들로 교체함으로써 Option<T>에 대한 제네릭 정의를 Option_i32Option_f64로 확장시킬 것입니다.

컴파일러가 생성한 우리의 단형성화된 버전의 코드는 아래와 같이 보이게 되는데,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구체화된 정의로 교체된 제네릭 Option이 사용되었습니다:

Filename: src/main.rs

enum Option_i32 {
    Some(i32),
    None,
}

enum Option_f64 {
    Some(f64),
    None,
}

fn main() {
    let integer = Option_i32::Some(5);
    let float = Option_f64::Some(5.0);
}

우리는 제네릭을 사용하여 중복 없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러스트는 이를 각 인스턴스에 대해 구체적인 타입을 갖는 코드로 컴파일할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제네릭을 사용하는 데에 어떠한 런타임 비용도 없음을 의미합니다; 코드가 실행될 때, 손으로 각각 특정 정의를 중복시킨 것과 같이 실행될 것입니다. 단형성화의 과정은 러스트의 제네릭이 런타임에 극도로 효율적 이도록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