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2판 번역본입니다.

최신 2021 에디션 문서는 https://doc.rust-kr.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Result와 함께하는 복구 가능한 에러

대부분의 에러는 프로그램을 전부 멈추도록 요구될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습니다. 종종 어떤 함수가 실패할 때는, 우리가 쉽게 해석하고 대응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만일 우리가 어떤 파일을 여는데 해당 파일이 존재하지 않아서 연산에 실패했다면, 프로세스를 멈추는 대신 파일을 새로 만드는 것을 원할지도 모릅니다.

2장의 “Result 타입으로 잠재된 실패 다루기” 절에서 Result 열거형은 다음과 같이 OkErr라는 두 개의 variant를 갖도록 정의되어 있음을 상기하세요:

#![allow(unused)]
fn main() {
enum Result<T, E> {
    Ok(T),
    Err(E),
}
}

TE는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입니다; 10장에서 제네릭에 대해 더 자세히 다룰 것입니다. 지금으로서 여러분이 알아둘 필요가 있는 것은, T는 성공한 경우에 Ok variant 내에 반환될 값의 타입을 나타내고 E는 실패한 경우에 Err variant 내에 반환될 에러의 타입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점입니다. Result가 이러한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를 갖기 때문에, 우리가 반환하고자 하는 성공적인 값과 에러 값이 다를 수 있는 다양한 상황 내에서 표준 라이브러리에 정의된 Result 타입과 함수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패할 수도 있기 때문에 Result 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호출해 봅시다: Listing 9-3에서는 파일 열기를 시도합니다:

Filename: src/main.rs

use std::fs::File;

fn main() {
    let f = File::open("hello.txt");
}

Listing 9-3: 파일 열기

File::openResult를 반환하는지 어떻게 알까요? 표준 라이브러리 API 문서를 찾아보거나, 컴파일러에게 물어볼 수 있습니다! 만일 f에게 우리가 알고 있고 그 함수의 반환 타입은 아닐 어떤 타입에 대한 타입 명시를 주고 그 코드의 컴파일을 시도한다면, 컴파일러는 우리에게 타입이 맞지 않는다고 알려줄 것입니다. 그 후 에러 메세지는 f의 타입이 무엇인지 알려줄 것입니다. 한번 해봅시다: 우리는 File::open의 반환 타입이 u32는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으니, let f 구문을 이렇게 바꿔봅시다:

let f: u32 = File::open("hello.txt");

이제 컴파일을 시도하면 다음 메세지가 나타납니다:

error[E0308]: mismatched types
 --> src/main.rs:4:18
  |
4 |     let f: u32 = File::open("hello.txt");
  |                  ^^^^^^^^^^^^^^^^^^^^^^^ expected u32, found enum
`std::result::Result`
  |
  = note: expected type `u32`
  = note:    found type `std::result::Result<std::fs::File, std::io::Error>`

이 메세지는 File::open 함수의 반환 타입이 Result<T, E>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여기서 제네릭 파라미터 T는 성공값의 타입인 std::fs::File로 채워져 있는데, 이것은 파일 핸들입니다. 에러에 사용되는 E의 타입은 std::io::Error입니다.

이 반환 타입은 File::open을 호출하는 것이 성공하여 우리가 읽거나 쓸 수 있는 파일 핸들을 반환해 줄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함수 호출은 또한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파일에 접근할 권한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File::open 함수는 우리에게 성공했는지 혹은 실패했는지를 알려주면서 동시에 파일 핸들이나 에러 정보 둘 중 하나를 우리에게 제공할 방법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정보가 Result 열거형이 전달하는 것과 정확히 일치합니다.

File::open이 성공한 경우, 변수 f가 가지게 될 값은 파일 핸들을 담고 있는 Ok 인스턴스가 될 것입니다. 실패한 경우, f의 값은 발생한 에러의 종류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Err의 인스턴스가 될 것입니다.

우리는 Listing 9-3의 코드에 File::open이 반환하는 값에 따라 다른 행동을 취하는 코드를 추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Listing 9-4은 우리가 6장에서 다뤘던 기초 도구 match 표현식을 이용하여 Result를 처리하는 한 가지 방법을 보여줍니다:

Filename: src/main.rs

use std::fs::File;

fn main() {
    let f = File::open("hello.txt");

    let f = match f {
        Ok(file) => file,
        Err(error) => {
            panic!("There was a problem opening the file: {:?}", error)
        },
    };
}

Listing 9-4: match 표현식을 사용하여 발생 가능한 Result variant들을 처리하기

Option 열거형과 같이 Result 열거형과 variant들은 프렐루드(prelude)로부터 가져와진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따라서 match의 각 경우에 대해서 OkErr 앞에 Result::를 특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여기서 우리는 러스트에게 결과가 Ok일 때에는 Ok variant로부터 내부의 file 값을 반환하고, 이 파일 핸들 값을 변수 f에 대입한다고 말해주고 있습니다. match 이후에는 읽거나 쓰기 위해 이 파일 핸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tch의 다른 경우는 File::open으로부터 Err를 얻은 경우를 처리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panic! 매크로를 호출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우리의 현재 디렉토리 내에 hello.txt라는 이름의 파일이 없는데 이 코드를 실행하게 되면, panic! 매크로로부터 다음과 같은 출력을 보게 될 것입니다:

thread 'main' panicked at 'There was a problem opening the file: Error { repr:
Os { code: 2, message: "No such file or directory" } }', src/main.rs:9:12

늘 그렇듯이, 이 출력은 어떤 것이 잘못되었는지 정확히 알려줍니다.

서로 다른 에러에 대해 매칭하기

Listing 9-3의 코드는 File::open이 실패한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panic!을 일으킬 것입니다. 대신 우리가 원하는 것은 실패 이유에 따라 다른 행동을 취하는 것입니다: 파일이 없어서 File::open이 실패한 것이라면,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서 핸들을 반환하고 싶습니다. 만일 그 밖의 이유로 File::open이 실패한 거라면, 예를 들어 파일을 열 권한이 없어서라면, Listing 9-4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panic!을 일으키고 싶습니다. match에 새로운 경우를 추가한 Listing 9-5를 봅시다:

Filename: src/main.rs

use std::fs::File;
use std::io::ErrorKind;

fn main() {
    let f = File::open("hello.txt");

    let f = match f {
        Ok(file) => file,
        Err(ref error) if error.kind() == ErrorKind::NotFound => {
            match File::create("hello.txt") {
                Ok(fc) => fc,
                Err(e) => {
                    panic!(
                        "Tried to create file but there was a problem: {:?}",
                        e
                    )
                },
            }
        },
        Err(error) => {
            panic!(
                "There was a problem opening the file: {:?}",
                error
            )
        },
    };
}

Listing 9-5: 다른 종류의 에러를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기

Err variant 내에 있는 File::open이 반환하는 값의 타입은 io::Error인데, 이는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구조체입니다. 이 구조체는 kind 메소드를 제공하는데 이를 호출하여 io::ErrorKind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io::ErrorKindio 연산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에러를 표현하는 variant를 가진,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열거형입니다. 우리가 사용하고자 하는 variant는 ErrorKind::NotFound인데, 이는 열고자 하는 파일이 아직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조건문 if error.kind() == ErrorKind::NotFound매치 가드(match guard) 라고 부릅니다: 이는 match 줄기 상에서 줄기의 패턴을 좀 더 정제해주는 추가 조건문입니다. 그 줄기의 코드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이 조건문이 참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패턴 매칭은 match의 다음 줄기에 맞춰보기 위해 이동할 것입니다. 패턴에는 ref가 필요하며 그럼으로써 error가 가드 조건문으로 소유권 이동이 되지 않고 그저 참조만 됩니다. 패턴 내에서 참조자를 얻기 위해 &대신 ref이 사용되는 이유는 18장에서 자세히 다룰 것입니다. 짧게 설명하면, &는 참조자를 매치하고 그 값을 제공하지만, ref는 값을 매치하여 그 참조자를 제공합니다.

매치 가드 내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조건문은 error.kind()에 의해 반환된 값이 ErrorKind 열거형의 NotFound variant인가 하는 것입니다. 만일 그렇다면, File::create로 파일 생성을 시도합니다. 그러나, File::create 또한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쪽에 match 구문을 바깥쪽과 마찬가지로 추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파일이 열 수 없을 때, 다른 에러 메세지가 출력될 것입니다. 바깥쪽 match의 마지막 갈래는 똑같이 남아서, 파일을 못 찾는 에러 외에 다른 어떤 에러에 대해서도 패닉을 일으킵니다.

에러가 났을 때 패닉을 위한 숏컷: unwrapexpect

match의 사용은 충분히 잘 동작하지만, 살짝 장황하기도 하고 의도를 항상 잘 전달하는 것도 아닙니다. Result<T, E> 타입은 다양한 작업을 하기 위해 정의된 수많은 헬퍼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인 unwrap 이라 부르는 메소드는 Listing 9-4에서 작성한 match 구문과 비슷한 구현을 한 숏컷 메소드입니다. 만일 Result 값이 Ok variant라면, unwrapOk 내의 값을 반환할 것입니다. 만일 ResultErr variant라면, unwrap은 우리를 위해 panic! 매크로를 호출할 것입니다. 아래에 unwrap이 작동하는 예가 있습니다:

Filename: src/main.rs

use std::fs::File;

fn main() {
    let f = File::open("hello.txt").unwrap();
}

hello.txt 파일이 없는 상태에서 이 코드를 실행시키면, unwrap 메소드에 의한 panic! 호출로부터의 에러 메세지를 보게 될 것입니다:

thread 'main' panicked at 'called `Result::unwrap()` on an `Err` value: Error {
repr: Os { code: 2, message: "No such file or directory" } }',
/stable-dist-rustc/build/src/libcore/result.rs:868

또 다른 메소드인 expectunwrap과 유사한데, 우리가 panic! 에러 메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줍니다. unwrap대신 expect를 이용하고 좋은 에러 메세지를 제공하는 것은 여러분의 의도를 전달해주고 패닉의 근원을 추적하는 걸 쉽게 해 줄 수 있습니다. expect의 문법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Filename: src/main.rs

use std::fs::File;

fn main() {
    let f = File::open("hello.txt").expect("Failed to open hello.txt");
}

expectunwrap과 같은 식으로 사용됩니다: 파일 핸들을 리턴하거나 panic! 매크로를 호출하는 것이죠. expectpanic! 호출에 사용하는 에러 메세지는 unwrap이 사용하는 기본 panic! 메세지보다는 expect에 넘기는 파라미터로 설정될 것입니다. 아래에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예가 있습니다:

thread 'main' panicked at 'Failed to open hello.txt: Error { repr: Os { code:
2, message: "No such file or directory" } }',
/stable-dist-rustc/build/src/libcore/result.rs:868

이 에러 메세지는 우리가 특정한 텍스트인 Failed to open hello.txt로 시작하기 때문에, 이 에러 메세지가 어디서부터 왔는지를 코드 내에서 찾기가 더 수월해질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여러 군데에 unwrap을 사용하면, 정확히 어떤 unwrap이 패닉을 일으켰는지 찾기에 좀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패닉을 호출하는 모든 unwrap이 동일한 메세지를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에러 전파하기

실패할지도 모르는 무언가를 호출하는 구현을 가진 함수를 작성할 때, 이 함수 내에서 에러를 처리하는 대신, 에러를 호출하는 코드 쪽으로 반환하여 그쪽에서 어떻게 할지 결정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에러 전파하기로 알려져 있으며, 에러가 어떻게 처리해야 좋을지 좌우해야 할 상황에서, 여러분의 코드 내용 내에서 이용 가능한 것들보다 더 많은 정보와 로직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호출하는 코드 쪽에 더 많은 제어권을 줍니다.

예를 들면, Listing 9-6은 파일로부터 사용자 이름을 읽는 함수를 작성한 것입니다. 만일 파일이 존재하지 않거나 읽을 수 없다면, 이 함수는 호출하는 코드 쪽으로 해당 에러를 반환할 것입니다:

Filename: src/main.rs

#![allow(unused)]
fn main() {
use std::io;
use std::io::Read;
use std::fs::File;

fn read_username_from_file() -> Result<String, io::Error> {
    let f = File::open("hello.txt");

    let mut f = match f {
        Ok(file) => file,
        Err(e) => return Err(e),
    };

    let mut s = String::new();

    match f.read_to_string(&mut s) {
        Ok(_) => Ok(s),
        Err(e) => Err(e),
    }
}
}

Listing 9-6: match를 이용하여 호출 코드 쪽으로 에러를 반환하는 함수

함수의 반환 타입부터 먼저 살펴봅시다: Result<String, io::Error>. 이는 함수가 Result<T, E> 타입의 값을 반환하는데 제네릭 파라미터 T는 구체적 타입(concrete type)인 String로 채워져 있고, 제네릭 타입 E는 구체적 타입인 io::Error로 채워져 있습니다. 만일 이 함수가 어떤 문제 없이 성공하면, 함수를 호출한 코드는 String을 담은 값을 받을 것입니다 - 이 함수가 파일로부터 읽어들인 사용자 이름이겠지요. 만일 어떤 문제가 발생한다면, 이 함수를 호출한 코드는 문제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io::Error의 인스턴스를 담은 Err 값을 받을 것입니다. 이 함수의 반환 타입으로서 io::Error를 선택했는데, 그 이유는 우리가 이 함수 내부에서 호출하고 있는 실패 가능한 연산 두 가지가 모두 이 타입의 에러 값을 반환하기 때문입니다: File::open 함수와 read_to_string 메소드 말이죠.

함수의 본체는 File::open 함수를 호출하면서 시작합니다. 그다음에는 Listing 9-4에서 본 match와 유사한 식으로 match을 이용해서 Result 값을 처리하는데, Err 경우에 panic!을 호출하는 대신 이 함수를 일찍 끝내고 File::open으로부터의 에러 값을 마치 이 함수의 에러 값인 것처럼 호출하는 쪽의 코드에게 전달합니다. 만일 File::open이 성공하면, 파일 핸들을 f에 저장하고 계속합니다.

그 뒤 변수 s에 새로운 String을 생성하고 파일의 콘텐츠를 읽어 s에 넣기 위해 f에 있는 파일 핸들의 read_to_string 메소드를 호출합니다. File::open가 성공하더라도 read_to_string 메소드가 실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함수 또한 Result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이 Result를 처리하기 위해서 또 다른 match가 필요합니다: 만일 read_to_string이 성공하면, 우리의 함수가 성공한 것이고, 이제 s 안에 있는 파일로부터 읽어들인 사용자 이름을 Ok에 싸서 반환합니다. 만일 read_to_string이 실패하면, File::open의 반환값을 처리했던 match에서 에러값을 반환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에러 값을 반환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명시적으로 return이라 말할 필요는 없는데, 그 이유는 이 함수의 마지막 표현식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이 코드를 호출하는 코드는 사용자 이름을 담은 Ok 값 혹은 io::Error를 담은 Err 값을 얻는 처리를 하게 될 것입니다. 호출하는 코드가 이 값을 가지고 어떤 일을 할 것인지 우리는 알지 못합니다. 만일 그쪽에서 Err 값을 얻었다면, 예를 들면 panic!을 호출하여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선택을 할 수도 있고, 기본 사용자 이름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혹은 파일이 아닌 다른 어딘가에서 사용자 이름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호출하는 코드가 정확히 어떤 것을 시도하려 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우리는 모든 성공 혹은 에러 정보를 위로 전파하여 호출하는 코드가 적절하게 처리를 하도록 합니다.

러스트에서 에러를 전파하는 패턴은 너무 흔하여 러스트에서는 이를 더 쉽게 해주는 물음표 연산자 ?를 제공합니다.

에러를 전파하기 위한 숏컷: ?

Listing 9-7은 Listing 9-6과 같은 기능을 가진 read_username_from_file의 구현을 보여주는데, 다만 이 구현은 물음표 연산자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Filename: src/main.rs

#![allow(unused)]
fn main() {
use std::io;
use std::io::Read;
use std::fs::File;

fn read_username_from_file() -> Result<String, io::Error> {
    let mut f = File::open("hello.txt")?;
    let mut s = String::new();
    f.read_to_string(&mut s)?;
    Ok(s)
}
}

Listing 9-7: ?를 이용하여 에러를 호출하는 코드 쪽으로 반환하는 함수

Result 값 뒤의 ?는 Listing 9-6에서 Result 값을 다루기 위해 정의했던 match 표현식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게끔 정의되어 있습니다. 만일 Result의 값이 Ok라면, Ok 내의 값이 이 표현식으로부터 얻어지고 프로그램이 계속됩니다. 만일 값이 Err라면, 우리가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에러 값을 호출하는 코드에게 전파하는 것과 같이 전체 함수로부터 Err 내의 값이 반환될 것입니다.

Listing 9-6에 있는 match 표현식과 물음표 연산자가 수행하는 한 가지 차이점은 물음표 연산자를 사용할 때 에러 값들이 표준 라이브러리 내에 있는 From 트레잇에 정의된 from 함수를 친다는 것입니다. 많은 에러 타입들이 어떤 타입의 에러를 다음 타입의 에러로 변환하기 위해 from 함수를 구현하였습니다. 물음표 연산자가 사용되면, from 함수의 호출이 물음표 연산자가 얻게 되는 에러 타입을 ?이 사용되고 있는 현재 함수의 반환 타입에 정의된 에러 타입으로 변환합니다. 이는 어떤 함수의 부분들이 수많은 다른 이유로 인해 실패할 수 있지만 이 함수는 실패하는 모든 방식을 하나의 에러 타입으로 반환할 때 유용합니다. 각각의 에러 타입이 그 자신을 반환되는 에러 타입으로 변경할 방법을 정의하기 위해 from 함수를 구현하기만 한다면, 물음표 연산자는 이 변환을 자동적으로 다룹니다.

Listing 9-7의 내용에서, File::open 호출 부분의 끝에 있는 ?Ok내의 값을 변수 f에게 반환해줄 것입니다. 만일 에러가 발생하면 ?는 전체 함수로부터 일찍 빠져나와 호출하는 코드에게 어떤 Err 값을 줄 것입니다. read_to_string 호출의 끝부분에 있는 ?도 같은 것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는 많은 수의 보일러플레이트(boilerplate)를 제거해주고 이 함수의 구현을 더 단순하게 만들어 줍니다. 심지어는 Listing 9-8과 같이 ? 뒤에 바로 메소드 호출을 연결하는 식으로 (chaining) 이 코드를 더 줄일 수도 있습니다:

Filename: src/main.rs

#![allow(unused)]
fn main() {
use std::io;
use std::io::Read;
use std::fs::File;

fn read_username_from_file() -> Result<String, io::Error> {
    let mut s = String::new();

    File::open("hello.txt")?.read_to_string(&mut s)?;

    Ok(s)
}
}

Listing 9-8: 물음표 연산자 뒤에 메소드 호출을 연결하기

새로운 String을 만들어 s에 넣는 부분을 함수의 시작 부분으로 옮겼습니다; 이 부분은 달라진 것이 없습니다. f 변수를 만드는 대신, File::open("hello.txt")?의 결과 바로 뒤에 read_to_string의 호출을 연결시켰습니다. read_to_string 호출의 끝에는 여전히 ?가 남아있고, File::openread_to_string이 모두 에러를 반환하지 않고 성공할 때 s 안의 사용자 이름을 담은 Ok를 여전히 반환합니다. 함수의 기능 또한 Lsting 9-6과 Listing 9-7의 것과 동일하고, 다만 작성하기에 더 인체공학적인 방법이라는 차이만 있을 뿐입니다.

?Result를 반환하는 함수에서만 사용될 수 있습니다

?Result 타입을 반환하는 함수에서만 사용이 가능한데, 이것이 Listing 9-6에 정의된 match 표현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정의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Result 반환 타입을 요구하는 match 부분은 return Err(e)이며, 따라서 함수의 반환 타입은 반드시 이 return과 호환 가능한 Result가 되어야 합니다.

main의 반환 타입이 ()라는 것을 상기하면서, 만약 main 함수 내에서 ?를 사용하면 어떤일이 생길지 살펴봅시다:

use std::fs::File;

fn main() {
    let f = File::open("hello.txt")?;
}

이걸 컴파일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뜹니다:

error[E0277]: the `?` operator can only be used in a function that returns
`Result` (or another type that implements `std::ops::Try`)
 --> src/main.rs:4:13
  |
4 |     let f = File::open("hello.txt")?;
  |             ------------------------
  |             |
  |             cannot use the `?` operator in a function that returns `()`
  |             in this macro invocation
  = help: the trait `std::ops::Try` is not implemented for `()`
  = note: required by `std::ops::Try::from_error`

이 에러는 오직 Result를 반환하는 함수 내에서만 물음표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음을 지적합니다. Result를 반환하지 않는 함수 내에서, 여러분이 Result를 반환하는 다른 함수를 호출했을 때, 여러분은 ?를 사용하여 호출하는 코드에게 잠재적으로 에러를 전파하는 대신 matchResult에서 제공하는 메소드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이를 처리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panic!을 호출하거나 Result를 반환하는 것의 자세한 부분을 논의했으니, 어떤 경우에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지를 어떻게 결정하는가에 대한 주제로 돌아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