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2판 번역본입니다.

최신 2021 에디션 문서는 https://doc.rust-kr.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atch 흐름 제어 연산자

러스트는 match라고 불리는 극도로 강력한 흐름 제어 연산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우리에게 일련의 패턴에 대해 어떤 값을 비교한 뒤 어떤 패턴에 매치되었는지를 바탕으로 코드를 수행하도록 해줍니다. 패턴은 리터럴 값, 변수명, 와일드카드, 그리고 많은 다른 것들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18장에서 다른 모든 종류의 패턴들과 이것들로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다룰 것입니다. match의 힘은 패턴의 표현성으로부터 오며 컴파일러는 모든 가능한 경우가 다루어지는지를 검사합니다.

match 표현식을 동전 분류기와 비슷한 종류로 생각해보세요: 동전들은 다양한 크기의 구멍들이 있는 트랙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고, 각 동전은 그것에 맞는 첫 번째 구멍을 만났을 때 떨어집니다. 동일한 방식으로, 값들은 match 내의 각 패턴을 통과하고, 해당 값에 “맞는” 첫 번째 패턴에서, 그 값은 실행 중에 사용될 연관된 코드 블록 안으로 떨어질 것입니다.

우리가 방금 동전들을 언급했으니, match를 이용한 예제로 동전들을 이용해봅시다! Listing 6-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는 익명의 미국 동전을 입력받아서, 동전 계수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그 동전이 어떤 것이고 센트로 해당 값을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allow(unused)]
fn main() {
enum Coin {
    Penny,
    Nickel,
    Dime,
    Quarter,
}

fn value_in_cents(coin: Coin) -> u32 {
    match coin {
        Coin::Penny => 1,
        Coin::Nickel => 5,
        Coin::Dime => 10,
        Coin::Quarter => 25,
    }
}
}

Listing 6-3: 열거형과 열거형의 variant를 패턴으로서 사용하는 match 표현식

value_in_cents 함수 내의 match를 쪼개 봅시다. 먼저, match 키워드 뒤에 표현식을 써줬는데, 위의 경우에는 coin 값입니다. 이는 if를 사용한 표현식과 매우 유사하지만,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if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표현식은 부울린 값을 반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어떤 타입이든 가능합니다. 위 예제에서 coin의 타입은 Listing 6-3에서 정의했던 Coin 열거형입니다.

다음은 match 갈래(arm)들입니다. 하나의 갈래는 두 부분을 갖고 있습니다: 패턴과 어떤 코드로 되어 있죠. 여기서의 첫 번째 갈래는 값 Coin::Penny로 되어있는 패턴을 가지고 있고 그 후에 패턴과 실행되는 코드를 구분해주는 => 연산자가 있습니다. 위의 경우에서 코드는 그냥 값 1입니다. 각 갈래는 그다음 갈래와 쉼표로 구분됩니다.

match 표현식이 실행될 때, 결과 값을 각 갈래의 패턴에 대해서 순차적으로 비교합니다. 만일 어떤 패턴이 그 값과 매치되면, 그 패턴과 연관된 코드가 실행됩니다. 만일 그 패턴이 값과 매치되지 않는다면, 동전 분류기와 비슷하게 다음 갈래로 실행을 계속합니다.

각 갈래와 연관된 코드는 표현식이고, 이 매칭 갈래에서의 표현식의 결과 값은 전체 match 표현식에 대해 반환되는 값입니다.

각 갈래가 그냥 값을 리턴하는 Listing 6-3에서처럼 매치 갈래의 코드가 짧다면, 중괄호는 보통 사용하지 않습니다. 만일 매치 갈래 내에서 여러 줄의 코드를 실행시키고 싶다면, 중괄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코드는 Coin::Penny와 함께 메소드가 호출될 때마다 “Lucky penny!”를 출력하지만 여전히 해당 블록의 마지막 값인 1을 반환할 것입니다:

#![allow(unused)]
fn main() {
enum Coin {
   Penny,
   Nickel,
   Dime,
   Quarter,
}

fn value_in_cents(coin: Coin) -> u32 {
    match coin {
        Coin::Penny => {
            println!("Lucky penny!");
            1
        },
        Coin::Nickel => 5,
        Coin::Dime => 10,
        Coin::Quarter => 25,
    }
}
}

값들을 바인딩하는 패턴들

매치 갈래의 또 다른 유용한 기능은 패턴과 매치된 값들의 부분을 바인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열거형 variant로부터 어떤 값들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한 가지 예로서, 우리의 열거형 variant 중 하나를 내부에 값을 들고 있도록 바꿔봅시다. 1999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은 각 50개 주마다 한쪽 면의 디자인이 다른 쿼터 동전을 주조했습니다. 다른 동전들은 주의 디자인을 갖지 않고, 따라서 오직 쿼터 동전들만 이 특별 값을 갖습니다. 우리는 이 정보를 Quarter variant 내에 UsState 값을 포함하도록 우리의 enum을 변경함으로써 추가할 수 있는데, 이는 Listing 6-4에서 한 바와 같습니다:

#![allow(unused)]
fn main() {
#[derive(Debug)] // So we can inspect the state in a minute
enum UsState {
    Alabama,
    Alaska,
    // ... etc
}

enum Coin {
    Penny,
    Nickel,
    Dime,
    Quarter(UsState),
}
}

Listing 6-4: Quarter variant가 UsSate 값 또한 들고 있는 Coin 열거형

우리의 친구가 모든 50개 주 쿼터 동전을 모으기를 시도하는 중이라고 상상해봅시다. 동전의 종류에 따라 동전을 분류하는 동안, 우리는 또한 각 쿼터 동전에 연관된 주의 이름을 외쳐서, 만일 그것이 우리 친구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라면, 그 친구는 자기 컬렉션에 그 동전을 추가할 수 있겠지요.

이 코드를 위한 매치 표현식 내에서는 variant Coin::Quarter의 값과 매치되는 패턴에 state라는 이름의 변수를 추가합니다. Coin::Quarter이 매치될 때, state 변수는 그 쿼터 동전의 주에 대한 값에 바인드 될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다음과 같이 해당 갈래에서의 코드 내에서 stat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llow(unused)]
fn main() {
#[derive(Debug)]
enum UsState {
   Alabama,
   Alaska,
}

enum Coin {
   Penny,
   Nickel,
   Dime,
   Quarter(UsState),
}

fn value_in_cents(coin: Coin) -> u32 {
    match coin {
        Coin::Penny => 1,
        Coin::Nickel => 5,
        Coin::Dime => 10,
        Coin::Quarter(state) => {
            println!("State quarter from {:?}!", state);
            25
        },
    }
}
}

만일 우리가 value_in_cents(Coin::Quarter(UsState::Alaska))를 호출했다면, coinCoin::Quarter(UsState::Alaska)가 될 테지요. 각각의 매치 갈래들과 이 값을 비교할 때, Coin::Quarter(state)에 도달할 때까지 아무것도 매치되지 않습니다. 이 시점에서, state에 대한 바인딩은 값 UsState::Alaska가 될 것입니다. 그러면 이 바인딩을 println! 표현식 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Quarter에 대한 Coin 열거형 variant로부터 내부의 주에 대한 값을 얻었습니다.

Option<T>를 이용하는 매칭

이전 절에서 Option<T>을 사용할 때 Some 케이스로부터 내부의 T 값을 얻을 필요가 있었습니다; 우리는 Coin 열거형을 가지고 했던 것처럼 match를 이용하여 Option<T>를 다룰 수 있습니다! 동전들을 비교하는 대신, Option<T>의 variant를 비교할 것이지만, match 표현식이 동작하는 방법은 동일하게 남아있습니다.

Option<i32>를 파라미터로 받아서, 내부에 값이 있으면, 그 값에 1을 더하는 함수를 작성하고 싶다고 칩시다. 만일 내부에 값이 없으면, 이 함수는 None 값을 반환하고 다른 어떤 연산도 수행하는 시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match에 감사하게도, 이 함수는 매우 작성하기 쉽고, Listing 6-5와 같이 보일 것입니다:

#![allow(unused)]
fn main() {
fn plus_one(x: Option<i32>) -> Option<i32> {
    match x {
        None => None,
        Some(i) => Some(i + 1),
    }
}

let five = Some(5);
let six = plus_one(five);
let none = plus_one(None);
}

Listing 6-5: Option<i32> 상에서 match를 이용하는 함수

Some(T) 매칭 하기

plus_one의 첫 번째 실행을 좀 더 자세히 시험해봅시다. plus_one(five)가 호출될 때, plus_one의 본체 내의 변수 x는 값 Some(5)를 갖게 될 것입니다. 그런 다음 각각의 매치 갈래에 대하여 이 값을 비교합니다.

None => None,

Some(5) 값은 패턴 None과 매칭 되지 않으므로, 다음 갈래로 계속 갑니다.

Some(i) => Some(i + 1),

Some(5)Some(i)랑 매칭 되나요? 예, 바로 그렇습니다! 동일한 variant를 갖고 있습니다. Some 내부에 담긴 값은 i에 바인드 되므로, i는 값 5를 갖습니다. 그런 다음 매치 갈래 내의 코드가 실행되므로, i의 값에 1을 더한 다음 최종적으로 6을 담은 새로운 Some 값을 생성합니다.

None 매칭 하기

이제 xNone인 Listing 6-5에서의 plus_one의 두 번째 호출을 살펴봅시다. match 안으로 들어와서 첫 번째 갈래와 비교합니다.

None => None,

매칭 되었군요! 더할 값은 없으므로, 프로그램은 멈추고 =>의 우측 편에 있는 None 값을 반환합니다. 첫 번째 갈래에 매칭 되었으므로, 다른 갈래와는 비교하지 않습니다.

match와 열거형을 조합하는 것은 다양한 경우에 유용합니다. 여러분은 러스트 코드 내에서 이러한 패턴을 많이 보게 될 것입니다: 열거형에 대한 match, 내부의 데이터에 변수 바인딩, 그런 다음 그에 대한 수행 코드 말이지요. 처음에는 약간 까다롭지만, 여러분이 일단 익숙해지면, 이를 모든 언어에서 쓸 수 있게 되기를 바랄 것입니다. 이것은 꾸준히 사용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기능입니다.

매치는 하나도 빠뜨리지 않습니다

우리가 논의할 필요가 있는 match의 다른 관점이 있습니다. plus_one 함수의 아래 버전을 고려해 보세요:

fn plus_one(x: Option<i32>) -> Option<i32> {
    match x {
        Some(i) => Some(i + 1),
    }
}

여기서는 None 케이스를 다루지 않았고, 따라서 이 코드는 버그를 일으킬 것입니다. 다행히도, 이는 러스트가 어떻게 잡는지 알고 있는 버그입니다. 이 코드를 컴파일하고자 시도하면, 아래와 같은 에러를 얻게 됩니다:

error[E0004]: non-exhaustive patterns: `None` not covered
 -->
  |
6 |         match x {
  |               ^ pattern `None` not covered

러스트는 우리가 다루지 않은 모든 가능한 경우를 알고 있고, 심지어 우리가 어떤 패턴을 잊어먹었는지도 알고 있습니다! 러스트에서 매치는 하나도 빠뜨리지 않습니다(exhaustive): 코드가 유효해지기 위해서는 모든 마지막 가능성까지 샅샅이 다루어야 합니다. 특히 Option<T>의 경우, 즉 러스트가 우리로 하여금 None 케이스를 명시적으로 다루는 일을 잊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Null 일지도 모를 값을 가지고 있음을 가정하여, 앞서 논의했던 수십억 달러짜리 실수를 하는 일을 방지해줍니다.

_ 변경자(placeholder)

러스트는 또한 우리가 모든 가능한 값을 나열하고 싶지 않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u8은 0에서부터 255까지 유효한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만일 우리가 1, 3, 5, 그리고 7 값에 대해서만 신경 쓰고자 한다면, 나머지 0, 2, 4, 6, 8, 그리고 9부터 255까지를 모두 나열하고 싶진 않을 겁니다. 다행히도, 그럴 필요 없습니다: 대신 특별 패턴인 _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allow(unused)]
fn main() {
let some_u8_value = 0u8;
match some_u8_value {
    1 => println!("one"),
    3 => println!("three"),
    5 => println!("five"),
    7 => println!("seven"),
    _ => (),
}
}

_ 패턴은 어떠한 값과도 매칭 될 것입니다. 우리의 다른 갈래 뒤에 이를 집어넣음으로써, _는 그전에 명시하지 않은 모든 가능한 경우에 대해 매칭 될 것입니다. ()는 단지 단위 값이므로, _ 케이스에서는 어떤 일도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_ 변경자 이전에 나열하지 않은 모든 가능한 값들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을 말해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match 표현식은 우리가 단 한 가지 경우에 대해 고려하는 상황에서는 다소 장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위하여, 러스트는 if let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