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2판 번역본입니다.

최신 2021 에디션 문서는 https://doc.rust-kr.org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름 가져오기 (Importing Names)

우리는 Listing 7-6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nested_modules 함수를 호출하는 것처럼, 모듈 이름을 호출 구문의 일부분으로 사용하여 해당 모듈 내에 정의된 함수를 호출하는 방법을 다룬바 있습니다:

Filename: src/main.rs

pub mod a {
    pub mod series {
        pub mod of {
            pub fn nested_modules() {}
        }
    }
}

fn main() {
    a::series::of::nested_modules();
}

Listing 7-6: 함수에 인접한 모듈 경로를 완전히 특정한 함수 호출하기

보시다시피 완전하게 경로를 지정한 이름을 참조하는 것은 너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다행히도 러스트는 이러한 호출을 더 간결하게 만들어주는 키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use를 이용한 간결한 가져오기

러스트의 use 키워드는 여러분이 스코프 내에서 호출하고 싶어하는 함수의 모듈을 가져옴으로써 긴 함수 호출을 줄여줍니다. a::series::of 모듈을 바이너리 크레이트의 루트 스코프로 가져온 예제입니다:

Filename: src/main.rs

pub mod a {
    pub mod series {
        pub mod of {
            pub fn nested_modules() {}
        }
    }
}

use a::series::of;

fn main() {
    of::nested_modules();
}

use a::series::of; 줄은 of 모듈을 참조하고 싶은 곳마다 a::series::of 전부를 사용하기 보다는 of를 사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use 키워드는 우리가 명시한 것만 스코프 내로 가져옵니다: 즉 모듈의 자식들을 스코프 내로 가져오지는 않습니다. 이는 nested_modules 함수를 호출하고자 할 때 여전히 of::nested_modules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다음과 같이 use 구문 안에서 모듈 대신 함수를 명시하여 스코프 내에서 함수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pub mod a {
    pub mod series {
        pub mod of {
            pub fn nested_modules() {}
        }
    }
}

use a::series::of::nested_modules;

fn main() {
    nested_modules();
}

이렇게 하면 모든 모듈을 안 써주고 함수를 직접 참조하도록 해줍니다.

열거형 또한 모듈과 비슷한 일종의 이름공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열거형의 variant 또한 use를 이용하여 가져올 수 있습니다. 어떠한 use 구문이건 하나의 이름공간으로부터 여러 개의 아이템을 가져오려 한다면, 여러분은 아래와 같이 중괄호와 쉼표를 구문의 마지막 위치에 사용하여 이 아이템들을 나열할 수 있습니다:

enum TrafficLight {
    Red,
    Yellow,
    Green,
}

use TrafficLight::{Red, Yellow};

fn main() {
    let red = Red;
    let yellow = Yellow;
    let green = TrafficLight::Green;
}

Green variant에 대해서는 여전히 TrafficLight 이름공간을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use 구문 내에 Green를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를 이용한 모두(glob) 가져오기

이름공간 내의 모든 아이템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 문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enum TrafficLight {
    Red,
    Yellow,
    Green,
}

use TrafficLight::*;

fn main() {
    let red = Red;
    let yellow = Yellow;
    let green = Green;
}

*글롭(glob) 이라고 부르며, 이는 이름공간 내에 공개된 모든 아이템을 가져올 것입니다. 여러분은 글롭을 아껴가며 써야 합니다: 글롭은 편리하지만, 여러분이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은 아이템을 끌어와서 이름 간의 충돌(naming conflict)의 원인이 될수도 있습니다.

super를 사용하여 부모 모듈에 접근하기

이 장의 시작 부분에서 보셨듯이, 여러분이 라이브러리 크레이트를 만들때, 카고는 여러분들을 위해 tests 모듈을 만들어줍니다. 지금부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부분들을 봅시다. 여러분의 communicator 프로젝트 내에 있는 src/lib.rs을 여세요:

Filename: src/lib.rs

pub mod client;

pub mod network;

#[cfg(test)]
mod tests {
    #[test]
    fn it_works() {
    }
}

11장에서 테스트에 관한 더 많은걸 설명하고 있습니다만, 이 예제는 지금도 이해가 되시리라 봅니다: tests라는 이름의 모듈이 우리의 다른 모듈들 옆에 있고, it_works라는 이름의 함수 하나를 담고 있지요. 좀 특별한 주석(annotation)이 있지만, tests 모듈은 그냥 또다른 모듈일 뿐입니다! 따라서 우리의 모듈 계층 구조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communicator
 ├── client
 ├── network
 |   └── client
 └── tests

테스트는 우리 라이브러리 내에 있는 코드를 연습하기 위한 것이므로, 현재로서는 어떠한 기능도 확인할 게 없긴 하지만, it_works 함수 안에서 우리의 client::connect 함수를 호출해 봅시다:

Filename: src/lib.rs

#![allow(unused)]
fn main() {
#[cfg(test)]
mod tests {
    #[test]
    fn it_works() {
        client::connect();
    }
}
}

cargo test 명령을 써서 테스트를 실행하면:

$ cargo test
   Compiling communicator v0.1.0 (file:///projects/communicator)
error[E0433]: failed to resolve. Use of undeclared type or module `client`
 --> src/lib.rs:9:9
  |
9 |         client::connect();
  |         ^^^^^^^^^^^^^^^ Use of undeclared type or module `client`

컴파일이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대체 왜일까요? 우리는 src/main.rs에서 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함수 앞에 communicator::를 붙일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이 코드가 분명히 communicator 라이브러리 크레이트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원인은 경로가 항상 현재 모듈을 기준으로 상대적인데, 여기는 test이기 때문입니다. 딱 하나의 예외는 use 구문인데, 이는 기본적으로 크레이트 루트에 대한 상대적인 경로로 인식됩니다. 우리의 tests 모듈은 이 스코프 내에서 client 모듈이 필요합니다!

그러면 어떻게 모듈 계층 구조 내에서 한 모듈 위로 거슬러 올라가 tests 모듈 안에서 client::connect 함수를 호출할 수 있을까요? 아래와 같이 앞에 콜론 두개를 사용하여 러스트에게 우리가 루트부터 시작하여 전체 경로를 나열하겠다고 알려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client::connect();

혹은, 아래와 같이 super를 사용하여 계층 구조 상에서 현재 모듈로부터 한 모듈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super::client::connect();

이 두 가지 옵션은 이번 예제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러분의 모듈 계층 구조가 깊어진다면, 매번 루트에서부터 경로를 시작하는 것은 여러분의 코드를 길게 만들 것입니다. 그런 경우에는 super를 이용하여 현재 모듈에서 형제 모듈을 가져오는 것이 좋은 지름길이 됩니다. 여기에 더해서, 만약 여러분이 여러 군데에 루트로부터 시작되는 경로를 명시한 뒤에 서브트리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식으로 여러분의 모듈을 재정리한다면, 여러분은 여러 군데의 경로를 갱신하도록 요구받는 처지가 될 것이고, 이는 지루한 작업이 될 것입니다.

각각의 테스트에 super::를 타이핑해야 하는 것이 짜증날수 있겠지만, 여러분은 이미 여기에 대한 해답이 될 도구를 보셨습니다: use 말이죠! super::의 기능은 use에 제공한 경로를 변경시켜서 이제 루트 모듈 대신 부모 모듈에 상대적인 경로가 되게 해줍니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tests 모듈 내에서는 보통 use super::something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 됩니다. 따라서 이제 우리의 테스트는 이렇게 됩니다:

Filename: src/lib.rs

#![allow(unused)]
fn main() {
#[cfg(test)]
mod tests {
    use super::client;

    #[test]
    fn it_works() {
        client::connect();
    }
}
}

cargo test를 다시 실행시키면, 테스트가 통과되고 테스트 결과 출력의 첫번째 부분이 아래와 같이 나타날 것입니다:

$ cargo test
   Compiling communicator v0.1.0 (file:///projects/communicator)
     Running target/debug/communicator-92007ddb5330fa5a

running 1 test
test tests::it_works ... ok

test result: ok. 1 passed; 0 failed; 0 ignored; 0 measured

정리

이제 여러분은 코드를 조직화하기 위한 몇가지 새로운 기술을 알게 되었습니다! 관련된 기능들을 함께 묶여주는 이 기술들을 사용하고, 파일들이 너무 길어지지 않게 하고, 여러분의 라이브러리 사용자들에게 깔끔한 공개 API를 제공해 보세요.

다음으로 여러분의 멋지고 깔끔한 코드에 사용할 수 있는 표준 라이브러리 내의 몇가지 컬렉션 데이터 구조를 보겠습니다!